문상현의 카미노 (링반데룽)
남가새 본문
납가새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남가새라고도 하며, 한자어로는 질리자(蒺蔾子)·백질려(白蒺藜)라고도 한다.
학명은 Tribulus terrestris L. 이다.
바닷가 모래밭에서 자란다.
줄기는 밑에서 가지를 치며 갈라져서 옆으로 자라며, 길이는 1m 정도에 달한다.
원줄기·엽축(葉軸)·꽃대에는 꼬부라진 짧은 털과 펴진 긴 털이 있다.
잎은 길이 1∼6㎝로서 짧은 자루가 있고, 4∼8쌍으로 된 우수우상복엽(偶數羽狀複葉)이며, 작은 피침상 삼각형의 탁엽(托葉)이 있다.
작은 잎은 긴 타원형으로 양쪽이 같지 않으며, 끝이 뭉툭하고 잎 뒤에 백색 눈털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7월에 황색꽃이 피며 엽액(葉腋)에 한개씩 난다.
열매는 다섯개로 갈라지고 각 조각에는 두개의 뾰족한 돌기가 있으며 표피는 각질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제주도와 전라남도의 해변에 많이 분포하며, 고려시대에는 고동비거삼(古冬非居參), 조선시대에는 고금비거구(古今非居口)라 하였다.
열매는 약으로 사용하는데, 고혈압으로 어지럽고 두통이 심하며 우울할 때 복용하면 혈압을 내려주며, 눈이 충혈되고 눈물이 나며 시력이 감퇴되고 각막이 혼탁해지는 안과질환을 치료한다.
그 밖에 심마진이나 신경성 피부염으로 피부가 가렵고 반점이 나타날 때, 관상동맥부전증으로 인한 협심통에도 활용된다.
동물실험에서도 진정·혈압강하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거제도 그리고 함경북도 명천군과 거제도의 바닷가 모래땅에 많이 자란다.
한해살이풀인 <남가새>를 한자로는 "백질려白蒺藜" 또는 "자질려"라 한다.
<남가새>의 열매는 “백질려자白蒺藜子”, "질려자蒺藜子", “질려蒺藜질려”, “자茨”, “방통旁通”, “승추升推”, “시우豺羽” 또는 "백석리", "석리", "실리자" 등으로 부른다.
또한, “굴인屈人”, “지행止行”이라는 이 열매에 대한 다른 이칭은 가시가 있어 사람을 찔러 다치게 하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열매와 뿌리를 한방이나 민간에서 고혈압과 중풍을 치료하는 약으로 중요하게 쓴다.
남가새 열매는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간경에 들어가며, 혈압을 뚜렷하게 낮출 뿐만 아니라 혈관을 부드럽게 하고 콜레스테롤을 용해시켜 혈액순환이 잘되게 한다.
풍을 없애며 간기를 잘 통하게 하고 눈을 밝게하는 효능이 있다. 또 소변을 잘 나가게 하고 젖을 잘 나게 하며 뱃속에 덩어리가 있는 것을 없애며 갖가지 독을 풀고 우울증, 정신분열증에도 효과가 있다.
남가새 열매는 가을에 익은 것을 따서 그늘에서 말린 다음 날카로운 가시를 떼어내고 약으로 쓴다.
소금물에 볶아서 쓰면 약성이 더 높아진다고도 한다.
금기사항은 혈허기약자血虛氣弱者나 임산부는 복용을 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