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상현의 카미노 (링반데룽)

좆같은 세상 본문

링반데룽

좆같은 세상

까미l노 2012. 2. 29. 13:22

 

 

 

 

좆같은 세상

손세실리아


연변작가 초청 행사를 마치고 우르르 몰려간 남북횟집

소설 쓰는 리선희 주석이 본국에서 가져온 술을 꺼내 따르더니 답례주라며 한 입에 탁 털어 넣으란다

 

혀끝에 닿기만 해도 홧홧한 65도의 술을 요령 부리지 않고 받아 마신 우리 측 작가
몇은 이차도 가기 전에 두 손 두 발 다 들고 투항했는데 환갑이 낼모레인 이 아무개 시인도 예외는 아니었던지

취기에 휘청이며 딱히 누구에게랄 것 없이 중얼거린다 "사는 게, 사는 게 말이지요. 참, 좆같습니다"

고단하다 팍팍하다도 아닌 좆이란다 하고많은 것 중에 하필 좆같단다 쓸쓸하기 그지없다

이튿날 대관령을 넘어 서울로 돌아오는 길에 마침 밥 때가 되어

꿩만두 요리로 소문난 문막식당에 가 음식이 나오기를 기다리는데

통유리 너머 마당에서 수놈 시추 한 마리가 발정난 거시기를 덜렁거리며 암놈 시추 꽁무니를 하냥 뒤쫓고 있다

간절하고 숨찬 열정이다 뒤집어 생각하니 좆이란 게 죽었나 싶으면 어느새 무쇠 가래나 성실한 습으로 불쑥 되살아나

씨감자 파종하기 좋게 텃밭 일궈놓는 짱짱한 연장이지 않던가 세상살이가 좆같기만 하다면야 더 바랄 게 무에 있겠는가

그 존재만으로도 벌써 엄청난 위안이며 희망이지 않은가

연인의 자궁 속을 힘껏 헤엄쳐 다니다 진이 빠져 땅바닥에 퍼져버린 수놈의 축 늘어진 잔등을

암놈이 유순히 핥아주고 있다 하, 엄숙하고도 황홀한 광경이다.

실천문학 (2004년 봄호)

 

 

야 원래도 먹는 즐거움을 제대로 모르는 사람이지만 걷는 즐거움은 어느 무엇보다 좋아하는지라

우리나라 옛길들을 일부러 다 찾아가보곤 했는데

이곳 제주도 올레 가운데 18코스의 특징은 발바닥도 그런대로 행복한 곳이 중간중간 있었지만

무엇보다 걸으면서 보이는 정경들이 쏠쏠해서 추천을 한다.

 

제주도의 옛 문화 유적등 많이 훼손되고 흔적만 남기도 한 것 들이긴 해도 그런대로 괜찮았다.

 

특히 원나라 시대 때 삼별초의 침입을 막을려고 축조했던 돌들로 쌓아올렸던 석성의 흔적은 보존이 더 잘 되었으면 좋았을텐데

바닷가를 끼고 드문드문 남아있는 석성의 둘레가 쓰레기 더미로 덮히고 농사를 위해 밭둑과 경게용 담장으로나 이용되고 있어서 안타깝더라...

 

 

 

유명치 않은지 유명하신지는 잘 모르겠지만

손세실리아 시인이라는 쥔장께서 북카페라면서 대문간에 문패를(?)달고 바다를 끼고 도는 골목길에 있었는데

무얼 파는 안내를 해 두는 것보다 스스로 쓴 시 한구절이라도 벽에 있었으면 더 들어가 보고 싶었을 것이다.

 

기대인 등 벽으로 파도가 두드리고 지붕으로 튀어올랐던 파도의 낙수가 흘러내리는 소리를 들으며

이런 추운 겨울날 따뜻한 커피 한잔 마시면서 시인의 시를 읽어보고 지나갈 수 있는 행복감을 선물해 주셨으면 손세실리아 시인의 집은

담박에 인터넷으로 소문이 나서 제주 올레의 18코스 가운데 누구나 찾고 싶어할 아름답고 유명한 명소도 될 수 있을 터인데...

 

손세실리아 시인의 집은 제주도 올레18코스 중간 바닷가 골목길에 있었고 시인꼐선 다음카페 '해오름농장' 에서 뵐 수도 있다고 한다.

 

 

 

욕이라는 고상함에 대하여...

 

시인의 글에 '좆' 이라는 낱말이 나왔으니 한마디 하고 하자

이름하여 이 '좆'이라는 낱말이나 '자지' '보지' '개새끼' '씹 할' 등은 일상사에서 함부로 쓸 수는 없는

누구랑 싸울 때나 상대에게 말로서 공격을 할 때 사용하는 ... 그런 욕설을 뜻한다.

 

 

사실 이 낱말들은 순우리말로서 뜻을 새겨서 보면 과히 상스러운 욕이라고만 할 수는 없는 고상한 것일진데...

게다가 남성상의 뒤에 따라 붙일 수 있는 '놈'이라는 욕은 아예 욕 같지도 않게 쉽게 우스갯거리로도 쓰이는 반면

'년'이라는 낱말은 함부로 쓰기 어렵고 더군다나 여성상의 뒤에다 잘못 갖다 붙였다가는 아주 큰일이 생길 수 도 있다.

 

 

사랑하는 연인사이 또는 부부사이에 섹스를 할 때 이런 단어들은

아무리 달콤한 사랑의 밀어로 속삭여야 할 경우라도 금기시 되는 낱말처럼 여겨지곤 한다.

외국인들의 경우 사랑을 하면서도 편안하게 자기들의 언어 그대로도 표현을 하는데...

 

더러는 쉽고 편리한 순우리말로 표현을 해 주는 게 더 감정에 충실해진다는 여성도 있다.

왜 '자지' '보지' '씹' 이런 낱말들이 요상한 중국식 한자 표현이나 빙 둘러서 표현을 하게 유행이(?)됐을까?

 

 

 

 

 

백령도의 연꽃마을 팬션 마당에 가면 아름드리(?)남근들이 수두룩한데

예쁘장한 아가씨였던 딸이 우리 아버지가 만드셨다고 자랑스럽게 안내를 한다

'링반데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화꽃 무늬 쏘가리  (0) 2012.03.03
햇빛을 가리지 말고 조금만 비켜주시오  (0) 2012.03.01
다람쥐 쳇바퀴   (0) 2012.02.28
여행에서 돌아올 때  (0) 2012.02.27
부적처럼  (0) 2012.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