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상현의 카미노 (링반데룽)
숲에서 보내는 편지 본문
화창한 봄날 서서히 날개를 활짝 벌려 씨앗들을 멀리 날려보내는 솔방울들
가운데 닫혀있는 날개마저 벌어지고 나면 일제히 땅에 떨어져내려 흙으로 돌아갈 것이다.
억새의 중간 줄기에 달린 씨방
대나무처럼 곧은 줄로만 알았지 억새들에게도 마디가 있고
이처럼 중간에 털처럼 생긴 씨앗이 모이는 곳들이 달려있는 것을 몰랐다.
작년 한 해 열심히 살다간 흔적
그토록 무자비하게도 괴롭혀야만 하니?
알을 한껏 쏟아낸 도룡뇽 어미가 멀리 떠나지 못하고 알들의 주위를 지키는 중이다.
물도 아직 차가워서이기도 하겠지만 죽은 듯 꿈쩍도 않다가 살짝 건드리면 잽싸게 헤엄쳐 나뭇잎이나 바위 아래로 숨는다.
도룡뇽의 눈은 마치 아기의 눈처럼 순하게 생겼고 피부는 보호막이 무지 얇아 안쓰럽기까지 하다......
'마' 덩굴의 꽃잎같이 생긴 열매
작년 한 해 바람개비처럼 살다간 마른 잎들의 흔적
흙이 별로 없는 한라산엔 흙 속 깊이 뿌리를 내릴 곳을 찾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바위마저 움켜주지 못해 위험에 처한 고목이
안간힘을 써가며 거대한 뿌리를 아무렇게나 뻗어나가며 발버둥치는 모습이다.
까마귀들이랑 도시락을 나눠먹은 후 오후엔 어김없이 산보를 하는 오솔길
새들의 울음소리들 들으며 나란히 걷고 가끔은 내 눈에 안 뜨이게 숨어 다니지만 노루와 멧돼지랑도 같이 걷제?
숲 속 곤충 애벌레들의 아파트
소나무와 올벚나무의 사랑
쓰러질 지경에 놓였던 올벚나무가 소나무에게 급히 구원을 요청하고
소나무는 흔쾌히 제 허리를 내어주어 올벚나무가 팔을 뻗어 소나무를 감싸 안았다.
서서히 둘은 한몸이 되어 연리목처럼 붙어가고 있는 중이다...
소나무는 뿌리를 어떻게든 땅 속 아래로 깊이 내려가면서 생존을 하는데
활엽수인 올벚나무는 뿌리를 넓게만 뻗는 성질이 있어 한라산의 생태 특성상
땅에 흙이 적고 온통 바위 투성이라 제주도의 모진 바람에 쉽게 쓰러지는 경향이 있다.
지독한 스토커들
잘라도 잘라주어도 끊임없이 자라나 다른 나무를 타고 올라가면서 온몸을 칭칭 감아버리는 덩굴들
아래 사진을 보면 결국엔 둘이 다 힘에 못이겨 쓰러져 같이 죽게 된 모습이다.
기생하면서 다른 나무들의 도움을 받았으면 괴롭히지나 말고 한께 살 궁리를 해야지
나무만큼이나 덩치를 키우려고 하고 무수한 가지를 뻗어 잎사귀가 달리니 나무가 버텨낼 재간이 있나?
결국엔 힘에도 부치고 햇빛조차 못받게 된 나무가 쓰러지니 덩굴나무도도 같이 쓰려져 죽게된다.
타인을 괴롭히는 인간들이랑 하등 다를 바가 없는 놈들같으니라고...
온몸을 덩굴에 휘감겨 햇빛도 못받고 무게를 지탱하지 못해 지쳐 쓰러진 나무
미련하고 어리석은 욕심을 가진 놈들 때문에
마치 정글처럼 울창해 보이는 한라산의 숲은 오래된 고목들이 쉽게 자라지 못하게 되는 셈이기도 한데...
송악 덩굴로 만들어본 십자가
다른 나무들은 그냥 두고 보는데 소나무는 보호종이라
덩굴이 심하게 감고 올라가면 아래를 잘라주는데
이때 생긴 부산물인 못된 송악덩굴로 여러가지 나무공예를 하는 것이다.
저렇게 소나무를 칭칭 감고 올라가던 녀석들을 잘라내어 만든 십자가들
지들 스스로 얽히고 설켜 연리지처럼 가지들이 완전한 한몸으로 붙어버린다.
공장에서 기계로 만든 것이 아닌 세상에 단 하나씩 뿐인 자연에서 나온 십자가들이다.
왜 십자가는 반드시 곧고 바른 직사각의 나무나 쇠로 만들지?
지들만 살 수 있을줄 알고 지독하게도 세력을 뻗는 놈들
소나무를 못살게 굴던 녀석이 나에게 들켜
나무공에로 탈바꿈해진 송악의 덩굴
지친 나무가 쓰러져 땅으로 뽑혀지면서 죽으면 덩굴들도 같이 죽게 될때
덩굴을 자르지 않고 그 상태로 벗겨내어 말리면 덩굴들의 가지들이 한몸이 되어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