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상현의 카미노 (링반데룽)
노루귀 본문
노루귀는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특성은 나무 밑에서 자라며 노루귀가 잘 자라는 곳의 토양은 비옥하고 양지식물이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숲 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러시아 우수리 지역에도 자란다.
봄이 찾아온다는 소식을 알리듯이 눈을 헤치고 산 속 바위틈이나 커다란 나무의 뿌리께에 작은 꽃을 내밀어 파설초라고도 부릅니다.
식물체는 높이 8-20cm, 전체에 희고 긴 털이 많이 난다.
잎은 뿌리에서 나며 3-6장이다.
잎몸은 3갈래로 갈라진 삼각형이며, 밑은 심장형, 끝은 둔하다.
잎 앞면에 보통 얼룩무늬가 없지만 있는 경우도 있다.
꽃은 3-5월에 잎보다 먼저 피는데, 뿌리에서 난 1-6개의 꽃줄기에 위를 향해 피고, 흰색, 분홍색, 보라색이다.
꽃받침잎은 꽃잎처럼 보이며, 6-11장이다.
수술은 많으며 노란색이다.
열매는 수과로서 털이 나며 6월에 총포에 싸여 익는다.
노루귀라는 이름은 꽃줄기나 잎이 올라올 때 ‘노루의 귀’를 닮아서 붙여졌다.
이른봄에서 4월까지 흰색 또는 연한 붉은색 꽃이 피는데 잎보다 먼저 긴 꽃대 위에 1개씩 붙는다.
꽃 지름은 약 1.5cm이다.
총포는 3개로 녹색이고 흰 털이 빽빽이 난다.
꽃잎은 없고 꽃잎 모양의 꽃받침이 6∼8개 있다.
꽃받침은 대부분 연한 자줏빛이며 수술과 암술이 여러 개 있다.
산지나 들판의 경사진 양지에서 자라는데 큰 나무들이 잎이 무성해지기 전에 꽃을 피운다.
뿌리줄기가 비스듬히 자라고 마디가 많으며 검은색의 잔뿌리가 사방으로 퍼져나간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3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잎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뭉뚝하며 뒷면에 솜털이 많이 난다.
또한 꽃대에도 솜털이 많이 달린다. 잎몸 길이 5cm정도, 잎자루 길이 약 25cm이다.
민간에서는 8∼9월에 포기째 채취하여 두통과 장 질환에 약으로 쓴다.
본 분류군이 속한 노루귀속은 전 세계적으로 약 7종밖에 되지 않은 작은 속이다.
우리나라에는 울릉도 특산인 섬노루귀를 포함해서 3종이 분포한다.
학자에 따라 바람꽃속(Anemone)에 분류하기도 한다.
새끼노루귀(H. insularis Nakai)에 비해서 전체가 더욱 크며,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경우가 많다.
남해안부터 북부지방을 거쳐 만주, 우수리 등지까지 분포하므로, 새끼노루귀와는 분포 지역이 다르다.
또 새끼노루귀는 주로 전남과 제주 등의 남부지방에 분포하는 반면, 노루귀는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단백질의 전기영동에 의한 한국산 노루귀의 유연관계를 연구한 이화여대의 이남숙 교수 연구팀의 결과를 보면 노루귀는 울릉도산 섬노루귀(H. maxima (Nakai) Nakai)보다 새끼노루귀와 유전적으로 더 유연관계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 형태적인 분화 수준과 일관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라틴어 식물명(학명)의 속명 Hepatica는 간장(肝臟)이라는 뜻인데 갈라진 잎 모양이 간장을 닮았다하여 생겨난 명칭이다.
같은 식물을 보고 우리는 노루귀를 연상했지만 서양 사람들은 간의 모양을 연상한 것이다.
우리가 훨씬 시적이고 정서적으로 보인다.
우리가 꽃이라고 부르는 것은 사실은 꽃잎이 아니라 꽃받침이 꽃잎으로 발달한 것이다.
그래서 노루귀에는 식물학적으로 꽃잎이 없다.
식물에서는 꽃받침이 꽃잎으로 발달한 경우가 흔히 있는 일이다.
대부분의 미나리아제비과 식물이 독성이 있음으로 나물로 먹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뿌리를 포함한 모든 부분을 약으로 사용하는데 여름에 채취하여 건조한 후 보관하며 한방명은 장이세신(樟耳細辛)이다.
두통, 치통, 복통 등 각종 통증에 진통제로 쓰이며 기침, 설사에도 사용하고 약효성분으로 hepatrilobin, saponin이 들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