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상현의 카미노 (링반데룽)

제주의 해녀콩 본문

소금창고

제주의 해녀콩

까미l노 2013. 4. 11. 19:42

해녀콩

 

 

 

 

 

 

Canavalia lineata (Thunb.) DC.

콩과 해녀콩속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바닷가 모래땅에 자람.

 

꽃은 25~30mm. 열매는 긴 타원형으로 납작하며 길이 5~6cm.

6~8월 개화. 제주도 해안, 일본, 타이완 등지에 분포.

* 제주도의 해녀콩은 열대, 난대에 자라는 해녀콩의 열매가

바닷물에 떠내려 와서 자라는 것으로 알려짐.

 

제주도는 바람, 돌, 여자가 많다하여 삼다도(三多島)라 부른다.

아무리 별난 땅이라도 남녀가 다른 비율로 태어날 리가 없는데,

제주도에만 여자가 많기로 알려진 까닭이 늘 궁금했었다.

나라에 전란이 오래 지속되면 남자가 크게 줄어들기는 하지만,

그것은 제주도에만 해당되는 현상은 아닐 터이다.

우리 속담에 ‘사람은 서울로 보내고 말은 제주도로 보내라’는 말이 있듯이,

제주도에 여자가 많다는 말이 생긴 까닭은 아무래도 이곳 남자들이

돈을 벌거나 공부를 하려고 육지나 일본으로 많이 건너갔던 때문이지 싶다.

해녀콩7-1(토끼섬).jpg
(해녀콩이 자라는 토끼섬과 해녀들)

그런데 제주 해녀들 사이에 전해온다는 ‘해녀 아내의 노래’를 듣고서는

어쩌면 또 다른 이유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슬며시 들었다.

그 노래의 가사는 이러하다.

 

요 바당에, 요 물에 들언 (여기 바다에, 여기 물에 들어가서)

좀복, 구젱기, 고득하게 잡아당 (전복, 소라, 가득하게 잡아다가)

혼 푼, 두 푼, 모이단 보난 (한 푼, 두 푼, 모이다 보니까)

서방님 술깝에 몬딱 들어 감쩌. (남편 술값에 모조리 들어갔네)

 

한 세기 전, 나라가 기울고 절망만이 가득하던 시대에 여자가 생계를 꾸려가고,

 

남자들은 집안에서 빈둥거리거나 주색잡기에 빠져있는 세태가 있었다.

더구나 제주도는 토양이 척박하여 농사를 짓기도 마땅치 않은데다가

육지로 나갈 형편이 못되는 남정네들은 할 일없이 집안에 있었을 터이니,

이 섬에서 눈에 띄는 사람이 거의 여자가 아니었을까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해녀콩3-1(토끼섬).jpg
(토끼섬의 해녀콩)

제주의 바닷가에서 이따금 만나는 해녀콩을 보노라면

그녀들의 고달픈 삶이 떠올라 더욱 가슴이 저민다.

해녀콩이라는 이름은 해녀들이 원치 않는 아이를 가지게 되면

이 콩을 한 됫박 먹고 아기를 지웠대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어떤 시인은 해녀들이 물질하러 갈 때 바닷가에 뻗은 해녀콩 덩굴이

지운 아기의 탯줄처럼 발목을 감는다는 슬픈 시를 쓰기도 했다.

이리도 애달픈 사연들을 제주바다도 모를 리 없건만

언제나 파도는 무심하고 물결은 청정하기만 하다.

 

 

인디카 사진 동호회

'소금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의 버섯 이야기 #2  (0) 2013.04.11
우리나라의 버섯들 #1  (0) 2013.04.11
개감수 이야기  (0) 2013.04.11
섬초롱꽃  (0) 2013.04.11
열매 이야기  (0) 2013.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