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상현의 카미노 (링반데룽)

숲에서 보내는 그림엽서 본문

모산청우

숲에서 보내는 그림엽서

까미l노 2013. 3. 11. 23:46

 

 

 

                                         이 죽일 놈의...

                                         사랑인가 집착인가 그도 아니면 너를 죽여야  내가 사는 것인가?     

                                         애석하게도 이놈의 기생살이 덩굴성 식물인 '송악'이란 놈은 너도 죽고 나도 죽을께로 갈 확률이 높다.

                                        

                                         기생하게 해주는 나무도 성장하는만큼 송악도 같이 성장하여 휘감아 조이게 되면서 무게를 못이겨

                                         제주도의 기후상 잦은 태풍에 쓰러져 같이 죽게 되는 경우가 많다.   

 

                                         알려진 바로는 나무의 영양분을 빨아들여 죽게 되다고 하지만 그렇지는 않다고 밝혀졌다.

 

 

                         

                                      

                                        구름버섯이 특이하게도 납닥하게 졸참나무에 찰싹 달라붙어서 살아간다.

                                         버섯은 주로 세워진 모습처럼 자라는 형태들만 봐왔는데 이녀석처럼 누워서 사는 녀석은 처음 본다.

 

 

 

 

                          

 

                                       굴거리 나무와 먼나무등의 표피에 가끔 사람이나 동물의 눈 형태의 껍질눈이 만들어진 것을 볼 수 있다.

                                        흡사 E.T 영화에 나오는 주인공의 얼굴처럼 보이기도 한다.

 

 

                                            

                                                 태어나서 숲에 살아서는 열매와 꽃으로 인간과 동물 새 심지어 벌레들에게 안식처와 먹이를 제공하다가

                                                 죽어서는 떌감으로 사용되기도 했던 나무...

 

                                                 떌감으로도 사용되지 않은 나무는 이처럼 새들의 집이 되고 숲속 분해자인 버섯의 먹이가 되어 준다.

                                                 인간은 나무가 없는 세상에서는 살아갈 수가 없을 것이다.

 

 

 

                         

 

                                                   흡사 석이,목이버섯처럼 생겼는데 버섯 이름에는 나와있지 않은 종류인 것 같다.

                                                   소나무는 죽어 넘어져 있지만 마삭줄이랑 버섯에게 제 몸뚱아리를 내어 살아가게 하는 모습니다.

 

                                                          

                                          

                          

     

                                          이렇게도 살아가는가?

                                          살아가다가 넘어져서 저렇게 살게 된 것 같지는 않은데 도대체 무슨 이유가 생겼길래

                                          저토록 힘든 자세로 살아가는 것일까?

 

                                          사람의 시선으로만 다른 삶의 형태로 살아가는 세상 모든 것의 보편적인 눈으로 보여진다고

                                          저 졸참나무 스스로는 오히려 힘들게 사는 게 아닐지도 모르겠다...

                                         

                                          나와 우리와 틀리는 것이 아닌 조금 다른 것이라고 인정하면서 살아야겠지... 

                            

 

 

 

                                   조릿대가 새순을 올렸다.

                                   이렇게 여린 모습이지만 이녀석만큼 생명력이 강하고 욕심이 많은 식물도 드물다.

 

                                   이 녀석이 번식을 시작하는 숲엔 다른 식물은 아무것도 살지 못하게 만들어버릴 정도로 대단한 번식력을 자랑하는데

                                   조릿대 아래는 어떤 열매의 씨앗도 땅에까지 떨어질 수 없게 뺵뺵하게 숲을 뒤덮어버려

                                   이미 조릿대 숲에서 고목으로 성장한 나무 외에는 어떤 풀도 나무도 살아나지를 못한다.

 

                                   제주도 사람들은 이 조릿대의 새순으로 차를 만들어 머ㅏ시기도 한다.

                                   조릿대가 새순이 올라오면 마구 뽑길래 저러면 조릿대가 멸종되는 건 아니가 걱정을 하기도 했었는데

                                   사실은 조릿대의 새순을 뽑지 않으면 인간은 조릿대 차를 마셔볼 수 없을 것이고

                                   숲의 생태를 인간의 간섭 없이 자연 그 상태로 둬야 옳은 것이지만 조릿대의 경우엔 최소한의 간섭이라도 없으면

                                   숲은 조만간 조릿대만 살아가는 이상한 숲으로 변할 수도 있을 것이기에...

 

 

 

 

                          

                                   

                                  포유류 동물이든 날아다니는 조류든 아니면 식물이든 유익하냐 아니냐로

                                  인간들은 잡초니 유해 조수니 하면서 구분을 지어 버린다.

                                 그런데 요즘엔 유해한 것이라고 정해졌던 것들이 유익한 것들로 유익하거나 인간에게 친근하다고 믿어  왔었던 것들이

                                 거꾸로 유해한 것으로 바뀌는 것들이 더러 생겨났다.

 

                                 잡초라고 알려져 오던 풀이 사람에게 아주 좋은 약초로 알려져서 귀한 대접을 받기도 하고

                                 길조라고 믿었던 까치란 놈은 인간에게 해로움만 주는 해로운 조수로 그에 대한 대접이 완전히 변했다.

 

                                 까마귀란 녀석들도 꼭 그런 형국이다.

                                 예로부터 까마귀는 인간에게 해로움을 준 적이 전혀 없었는데도 생감새가 주는 흉칙함과

                                 울음소리 그리고 죽은 동물의 사체를 먹는 식성 떄문에 기피 조수로 정해져 버렸었다.

 

                                 심지어는 까마귀 노는데 백로야 가지마라 라는 옛글도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어찌보면 백로보다 인간에게 유익한 새가 까마귀일 것이다.

                                 해충 잘 잡아먹지 곡식이나 과수원의 과일도 밭작물 같은 것에도 좀처럼 먹이활동을 하지 않는 것만 봐도...

 

                                 조심성과 겁이 많기도 한데 한라산 등산로에서는 사람들괴 친근해 먹이를 곧잘 받아 먹기도 한다.

                                 오늘은 워낙 조심성이 심해 먹이를 던져둔 채 멀찌감치 떨어져 사진을 찍을려고 근처에서 아무리 기다려도

                                 주변 나무 웨에서만 얼씬거릴 뿐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는 놈들이다.

 

                                  기다리다 지쳐 조금이라도 떨어진 거리만큼 자리를 뜨면 잽싸게 먹이를 나꿔채 날아가 버린다.

                                  사탕도 곧잘 먹는 잡식성 놈들이다...       

 

 

 

 

 

서귀포 신시가 주변 들에 싸리꽃과 흡사한 살갈퀴꽃이 피기 시작했다.

꽁탈만한 크기의 분홍색 꽃이 참 예쁜 녀석이다.

 

 

                         

                                   

                                     오늘 처음 만나게 된 흰동백꽃이다.

                                     퇴근하면서 차를 달리는데 시야에 언뜻 스쳐가는 하얀 꽃 같은게 보였는데 꽃이 필 곳도 아니고

                                     나무의 생김새가 하얀색 꽃이 필 나무도 아니어서 한참을 지나갔다가 되돌아와서 확인를 했는데

                                     이럴수가 되돌아오지 않았으면 후회할 뻔한 하얀색 동백이라니...

 

                                     활짝 핀 후에 모가지 댕강 뿌러져 땅에 잔뜩 흩어진 빨간 동백의 모습만 보다가

                                     눈부시게 희디흰 순백의 동백을 보니 감개도 무량하다...

 

 

                                            하얀색의 동백을 발견한 것만큼이나 기쁨을 감출 수 없었던 나무가 있었으니

                                            이름하여 '붓순나무' 였는데 제주도에서 멸종위기 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놈이다.

 

                                            그런데 이놈을 발견한 곳이 너무도 엉뚱한 곳이었는데 집 앞 새로 지은 건물의 아주 작은 화단에

                               나무라고는 오직 이 나무 단 한 그루만 심어져 있었는데 지나 다니면서 붓순나무가 심어져 있을 것이라곤 상상조차 못했다.

 

                                              붓순나무의 열매에는 독성이 있다.

 

 

 

 

 

왜제비꽃이 분명한 것 같은데 이놈이 어째서 흰색이냐고...

아무리 식물도감을 뒤적여봐도 하얀색 제비꽃은 없는데 산신령이 물감으로 색깔을 바꿨을 리도 없을테고

잎도 꽃도 보고 또 봐도 제비꽃이 분명한데 혹시 이녀석은 새로운 변종의 출현일까?

 

이런...다시 그 자리에 가서 조사를 했다.

그리고 식물도감을 살폈더니 잔털제비꽃이었네...

꽃잎 안의 자주색 줄무늬까지 맞구나...

(흰색 꽃이 피는 제비꽃이 무려일곱 종류나 된다/남산제비,잔털제비,흰제비,금강제비,완제비.흰접제비,졸방제비꽃)

 

 

 

 

개나리가 피었어요~

육지에서는 아직 피었을 리 없을텐데 확실히 제주도 하고도 서귀포는 틀리는구나 시푸다...

이 꽃이 지고나면 해야 할 해 보아야 할 짓거리가 있는데 고개를 숙이거나 땅에 엎드려 개나리의 잎 아래를 살펴볼 일이다.

 

개나리 잎벌레들이 수 십마리 나란히 줄지어서 부지런히 잎을 갉아먹는 장관을 보고 싶어서이다....

 

 

 

드디어 새덕이 나무에 꽃이 피기 시작했습니다~

 

 

 

오늘은 재수가 참 좋은 날이다 싶은 게 드디어 제주도의 왕벚꽃을 보게된 날이라서이다...

왕벚나무가 단 한그루 있었던 도로변이었고 아직은 피기에 다소 빠르지 않았나 싶어서 더 그랬다.

 

 

 

 

'모산청우'

 

비가 온다는 소식이다.

예쁜 이름이듯  이제야말로 봄비라고 해아 되겠지?

 

비 내리기 시작하면 서둘러 길에 나서봐야겠고...

굽 나즈막한 빨간 구두 두손에 벗어 들고 긴 주름치마 살짝 휘감아 쥔 채

첨버덩거리면서 앞서 걸어가는 뒷모습 고운 여인의 뒤를 따라가 볼 일이다.

 

예쁜 알종아리 훔쳐 보면서 말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