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상현의 카미노 (링반데룽)
인상깊은 앞근(아끈)다랑쉬 본문
강산 두번 바뀌고…오름을 다시 걷다 | ||||||||||||||||||||||||||
[다시 걷는 오름 나그네] <1>프롤로그 | ||||||||||||||||||||||||||
| ||||||||||||||||||||||||||
생명의 지하수 제공 제주의 심장 그게 1990년 6월이다. 한 남자가 오름을 우리 곁으로 불쑥 데려온 게. 그렇다. 산을 미치도록 사랑한다던 고 김종철 선생은 제민일보 창간기획으로 시작된 '오름나그네'를 3년간 연재하며 가까이 있었지만 무심히 지나쳤던 오름의 이야기를 매주 우리들에게 전해줬다. 그로부터 20년, 강산이 두 번 변하는 시간 제주의 오름의 달라진 사연을 듣기 위해 기획 '다시 걷는 오름나그네'를 시작한다. 우리 곁으로 확 다가온 오름의 즐거운 탐방 방법은 물론 효율적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해 식생 등 오름의 훼손 상태도 점검한다.
오름은 제주민의 삶과 뗄레야 뗄 수가 없는 대상이다. 신앙적 성소였을 뿐만 아니라 마을 형성의 모태였다. 오름 자락에 집을 짓고 밭을 일구었다. 오름에서 열매를 따고 땔감을 얻었다. 오름은 개발의 바람 속에선 생채기를 당하면서도 자신의 몸을 내주었다. 곶자왈이 제주의 허파라면 오름은 심장이다. 곶자왈이 산소를 냈다면 오름은 물을 줬다. 혈액이 심장에서 나가 우리 몸을 돌듯 오름을 타고 오름 속으로 들어간 빗물은 땅속을 돌며 제주의 곳곳에 생명을 틔우는 지하수가 되었다. 그러고 보면 오름은 제주민의 삶 그 자체였다. 고 산악인 김종철은 「오름나그네」서문에서 "오름이 없는 바람만 스산한 죽음의 황야 같은 땅을 섬 사람들은 상상조차 할 수 없다. 그 오름자락에 살을 붙여 뼈를 묻혀 왔다. 한라산을 비롯한 오름들은 제주신화 신들의 고향"이라고 했다. 제주어인 '오름'의 어원은 악(岳)을 나타내는 사투리로 오로음(吾老音)과 올음(·音)이다. 오름을 한자로 표기할 때 주로 '岳'으로 쓰다가 19세기말 경부터 '봉(峯·峰)'으로 대체됐으나 오늘날에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산(山)을 뜻하는 고유어 '뫼'의 흔적도 있어 오름은 산의 의미로도 사용됐다고 한다. 그러나 오름은 이제 제주섬의 독특한 자연경관을 이루는 봉우리를 뜻하는 제주어의 개념을 넘어 '올레'와 함께 대한민국의 보편적 단어이자 제주를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도내 오름 숫자는 368개다. 막연히 300여개로 통칭돼 오던 것은 제주도가 1997년 항공사진 등으로 오름을 전수조사한 뒤 발간한 '제주의 오름'에서 368개로 공식 확인했다. 앞서 1995년 '오름나그네'를 펴냈던 김종철도 오름의 숫자를 330여로 봤다. 1997년 조사 당시 2만5000분의1 지도에 표시되지 않은 오름이 149개에 이를 정도로 규모가 작고 중요시 되지 않았던 오름들이 누락됐던 탓이다. 제주 오름의 개념은 한라산 정상의 백록담을 제외한 제주도 일원에 분포하는 소화산체로 화구를 갖고 있으면서 화산분출물에 의해 형성된 독립화산체 또는 기생화산체를 말한다. 이러한 제주의 오름들은 대부분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Pleistocene·약 200만~300만년에서 1만년 전)에 형성됐다고 한다. 그러나 독립 화산체 또는 기생 화산체를 형성할 수 있게 했던 화구를 사라진 원추형 등의 오름은 형성 단계에서 메워졌거나 일정시간이 경과하면서 함몰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 소화산체는 규모가 매우 작은 독립화산 또는 기생화산을 의미한다. 바로 제주도의 오름들이다. 특히 기생화산(Parasitic volcano)은 측화산(Lateral volcano)이라고도 하는데 화산체가 커져 화도가 길어지면서 발생한다. 즉 분화의 압력이 낮을 때 용암이 탈출하기 쉬운 균열을 통해 분출, 작은 화산을 형성하지만 측화산의 화도는 작아 곧 용암으로 메워지고, 또 다른 균열에서 용암이 분출해 작은 화산을 형성하는 현상이 이어지면서 작은 면적에 많은 오름이 형성된다. 제주도의 오름은 응회환·응회구·마르·용암돔·분석구 등의 형태로 존재한다. 분석구는 형태에 따라 원추형·원형·말굽형·복합형으로 구분되며 도내엔 말굽형 174개(47.3%), 원추형 102개(27.7%), 원형 53개(14.4%), 복합형 39개(10.6%)로 분류되고 있다. 도내 오름은 표고 200~600m의 중산간 지대에 전체의 46.5%인 171개가 집중돼 있고 200m이하 해안저지대에 105개(28.5%), 표고 600m이상 고지대에 92개(25.0%)가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 동지역 59개와 읍면지역 151개(한림 16·애월 50·구좌 40·조천 30·한경 13·우도 2개), 서귀포시 동지역 37개와 읍면지역 121개(대정 8·남원 29개·성산 22개·안덕 31·표선 31개) 등이다. 이 가운데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오름은 제주시의 '장구목'(표고 1813m)이고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 오름은 성산읍의 '붉은오름'(표고 33m)이다. 비고(比高)로 구분하면 50m미만 115개(31.3%)·50~100m 136개(40.0%)·100~150m 91개(24.7%) 등 150m 미만이 96%를 차지하며 250m은 5개다. 비고 최고와 최저는 389m의 서귀포시 '오백나한'과 고작 6m의 한경면 '가메창'이다. 도내 오름의 전체 면적은 101㎢로 제주도 면적의 5.5%를 차지하고 제주시 동지역 32.77㎢(전체의 12.8%)·읍면지역 40.06㎢(〃5.6%), 서귀포시 동지역 10.54㎢(〃4.1%)·읍면지역 34.0㎢(〃5.5%)이다. 가장 넓은 오름은 안덕면 군산(283만6857㎡), 가장 작은 오름은 성산읍 붉은오름(5343㎡)다. 제주도 전역 368개 오름의 소유 현황은 국유지 107개(29%)·공유지 57개(15%)·공동 소유 37개(10%)· 재단 소유 15개(4%)·사유지 147개(41%)·기타 5개(1%) 등이다.
# 오름용어해설 |
'소금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덕화사 (0) | 2012.11.13 |
---|---|
하늘아래 숨긴 비경 사라악 (0) | 2012.11.13 |
오름의 여왕 다랑쉬 (0) | 2012.11.13 |
쌍봉의 기세 숫오름 군산 (0) | 2012.11.13 |
제몸 나눠 곶자왈 탄생시킨 노꼬메오름 (0) | 2012.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