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상현의 카미노 (링반데룽)

선문답의 화두 본문

모산청우

선문답의 화두

까미l노 2015. 6. 29. 21:23

불혹이라는 나이사 이미 건너와도 한참도 더 전에 지나왔거늘

절벽에 매달려 있을 나이도 아닌데 손을 놓을 것인가 말 것인가로 누구에게 물을 것도 고민할 것도 아니고

 

되잖은 간뎅이는 어릴적부터 부어있었기에 벼랑 끝에 다가서도 좀처럼은 간신히 버텨 서 있을 성격은 더욱 아니기에

어떻게 할 것인가 고민할 일도 누군가로 부터 한 걸음 더 내딛으라 마라 선문답할 일도 들을 일도 없다만,

 

어느 작가의 책에 이러 저러 그러 저러한 글들이 있었는데

화두라는 것은 자질구레한 일상의 곁가지를 다 쳐내고 굵은 나무둥치가 드러날 때 또렷이 보이는 과녁과도 같다고 했더라...

 

 

                                                                                       으름덩굴의 열매

 

                                                             마치 작은 백합꽃처럼 생긴 두메부추

 

                                   길을 걷는데 남의 담벼락 아래 누군가 마시고 얌체처럼 버려두고 간 야자수 열매가 있더라,

똑똑 두드려봤더니 껍질 꽤나 단단하길래 집에 가져와 반으로 잘라 야자수 쪽박 컵이나 만들까 하다가

그냥 오죽을 한그루(?) 심었다.

 

아참,대나무는 이름만 나무지 나무가 아니라 벼과의 식물이니(풀)포기라고 해야 하나?

어쨌거나 아래에도 작은 구멍을 뚫고 흙을 채워 대나무 한 그루(포기) 심었네... 

 

                                                                친구가 약초 캐러 갔다가 발견한 숲 속의 새 둥지

                                아마 이놈들을 발견했을 무렵 어미는 지 새끼들 잘못 되려나 싶어 혼비백산 했을끼라...

 

                                                              새끼들만 있어서 무슨 새인지는 알 길이 없고...

 

                                                                       산제비나비의 고고한 자태

 

 

                                                                                 애벌레들의 새로 지은 아파트

 

                                                                      발가락이 앙증맞은 긴꼬리 장지뱀

 

                                                                          새끼 감귤에 맺힌 물방울

 

                                                                             보라색 도라지꽃               

 

                                                                                           

 

 

                                           도로의 반사경 받침대를 타고 오르는 나비의 애벌레 이름은 알 수가 없다. 

 

 

                                                                             알며느리 밥풀꽃